You will be called Abram no longer; your name will be Abraham, for I have made you a father of many nations. I will make you very fruitful; I will make nations of you, and kings will come from you. (이제 후로는 네 이름을 아브람이라 하지 아니하고 아브라함이라 하리니 이는 내가 너를 여러 민족의 아버지가 되게 함이니라. 내가 너로 심히 번성하게 하리니 내가 네게서 민족들이 나게 하며 왕들이 네게로부터 나오리라 -창세기 17:5 -6
(생각뭉치 역- 너는 불리 울 것이다/아브람이 아니라고; 너의 이름은 아브라함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내가 만들었다/너를/많은 나라의 아버지로. 내가 만들겠다/너를/매우 번창하게; 나는 만들겠다/국가들을/너의 그리고 왕들이 나올 것이다/너로부터)
창세기의 11장 20절부터 마지막 50장까지는 아브라함의 가족사로 이루어 져 있다. 아브라함이 이삭과 이스마엘(현 중동의 많은 나라의 시조)을 낳고 이삭이 야곱과 에서(고대 이스라엘 부근의 에돔족의 조상)를 낳고 야곱이 이스라엘의 12지파가 되는 아들 12을 가진다. 그 중에 11번째 아들 요셉이 이집트의 재상이 된다. 그리고 이스라엘 지역의 흉년을 피해 온 가족이 이집트로 이주해서 400년간 생활하게(They stayed in Egypt, along with all his family for 400 years)되는 것이 이들의 가족사이다.
위의 장면은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서 많은 민족이 나올 것이라는 것을 약속하고 계시다. 그 약속은 지켜졌다. 얼마나 많은 자손이 아브라함으로부터 나오느냐
하면 히브리서
영어의 기본은 「S +V」라고 강조하여왔다. 그 자체가 하나의 문장이며 의미를 전달하는 기본을 갖추게 된다. 예를 들어 “I sleep” 은 그 자체로도 “나는 잔다”라는 의미가 전달이 된다. 그러나 동사에 따라서는 완전하지 않을 수 있다. “I want”는 “나는 원한다”라는 뜻이지만 그 다음에 ‘무엇을?’ 이라는 관심을 충족하지 않으면 완성된 문장으로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S + V 만으로 완성된 느낌을 가지게 하는 동사를 완전자동사라고 하며 이 동사로 이루어진 문장형식을 1형식 문장이라고 한다. 스스로 문장이 완성되기 때문에 완전자동사다.
자동사는 아마도 맨 처음 생겨난 동사들로서 삶에 필요한 기본 단어들일 것이다. 한 두음절의 동사들로서 스스로 공간 시간 이동을 의미하는 단어들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스스로(自) 움직이는(動) 자동사인가 보다. 주요동사 go, come, run, walk, die, fly
Kings will come. (왕이 올 것이다] Now go. (이제 가라)
완전자동사를 이용한 문장은 문법적으로는 완전하다. 그렇다고 그 의미가 완성된 것은 아니다. Kings will come하고 나면 [어디로? 어디서? 무엇 하러?]등의 관심을 가질 수 있다. 반면 완전자동사는 그 다음에 관심이 되는 생각뭉치에 명사를 직접 사용하지 못한다. 문법적으로 이야기 하면 목적어를 가질 수 없다. 우리말로 “학교를 간다”라고 하면 이상한 것처럼 영어로 “I go school”도 틀린 용법이다. 즉, go와 같은 완전자동사는 명사를 변형시켜 ‘~에’ ‘~으로’ 라는 부사구를 만들어 사용하여야 한다. 이때 필요한 것이 전치사인데 이는 [where]라는 생각뭉치의 표현을 정리하면서 살펴보도록 하자.
Kings will come from you. (왕이 올 것이다/(어디서?)너에게서)
You go into all world. (너는 간다/(어디로?) 온 세상 안으로)
He rested on the seventh day. (그는 쉬었다/(언제?)7번째 날에)
Come과 go
우리말로 come은 [오다]와 go는 [가다]로 해석되지만 우리말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Come은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의 입장에서 어떤 장소로 [온다] [간다]로 쓰이고 go는 사람과 상관없이 다른 장소로 이동한다[간다]는 의미로 쓰이는 미묘한 차이가 있다.
“Where I go, you cannot come"(나의 가는 곳에는 너희가 오지 못하리라 - 요한복음
만약 이 글을 “Where I go, you cannot go”라고 쓰면 “내가 가는 곳에 너는 여기서 갈 수 없다”라는 뉘앙스가 되어 어색하다. “내가 너에게로 간다”는 “I am going”이 아니라 “I am coming”이라고 쓰고 “나와 함께 갈까?”는 “Can you come with me?”로 표현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다시 정리하면 come은 ‘(말하는 사람 쪽으로)오다’ ‘(상대방이 있는 곳 또는 어떤 목적지로)가다’라는 표현에 사용된다.
이 완전 자동사를 사용하여 어떤 목적어를 가지려면 결국 전치사가 필요하게 된다. 특별히 look, listen, smile과 같은 동사들은 우리말로 [~를 하다]로 해석되기 때문에 목적어를 가져야 표현이 자연스럽다. 그러나 영어 문법상 자동사는 목적어를 가질 수 없음으로 전치사를 통해 목적어를 가진다. 따라서 다음의 동사는 전치사와 함께 하나의 동사로 인식해 둘 필요가 있다.
주요동사: account, agree, look, listen, reply, object, wait, graduate, interfere, sympathize
Account
for ~을 설명하다
But they need not account for the money
entrusted to them, because they are acting faithfully. -그러나 그들의 손에 맡긴 은을 회수하지 말지니 이는 그들이 진실하게 행함이더라 - 열왕기하
Agree to(with) ~에 동의하다
Don't listen to him or agree to his
demands. -듣지도 말고 허락하지도 마옵소서 -열왕기상
Look for ~을 찾다
I look for your deliverance, O LORD. -여호와여 나는 주의 구원을 기다리나이다. - 창세기 49:18
그 밖에 Look at ~을 보다, Reply to ~에 응답하다, Wait for ~을 기다리다. Graduate from ~을 졸업하다, Interfere with ~를 방해하다, Sympathize with ~동정하다 등이 있다.
이 완전자동사를 우리의 TG식의 표로 만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
명사 |
동사전용 |
명사 목적어 |
형용사 보어 |
부사 전용 지역 |
||||||
S |
V |
who |
what |
how |
where |
Why |
How |
when |
|||
Go형 |
S |
V |
|
|
|
|
where |
Why |
How |
when |
|
예문 |
King |
will come |
|
|
|
from you |
|||||
주요동사 |
go, come, run, walk, grow, die, fly |
||||||||||
Look형 |
S |
V |
p |
who or what |
|
where |
Why |
How |
when |
||
예문 |
The LORD |
looks |
at |
the heart |
|
|
|
|
|
||
주요동사 |
account, agree, look, listen, reply, wait, graduate, interfere, sympathize |
||||||||||
'나의 서재 > 성경:A short Bible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You want to make a king : 준동사 (0) | 2007.05.07 |
---|---|
Israel had no king: 첫 번째 생각뭉치 Who (0) | 2007.04.16 |
Moses is dead: 「S+V」 불완전 자동사 (0) | 2007.03.18 |
Let them rule over all the creatures: 명사의 복수형과 소유격 (0) | 2007.03.18 |
That was its name: 명사 5형제 (0) | 2007.02.28 |